실시간 현장 발화 동시통역 솔루션 노트북형 단말기 기반 웹 서비스 UI/UX.
디엠티랩스는 11월 28~29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(AI) 전시회인 'AI 테크 플러스(TECH+) 2024'에서 한국인공지능협회 공동관에 참가해 자연어처리 AI 서비스 및 솔루션을 소개했다.
디엠티랩스의 실시간 현장 발화 동시통역 솔루션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대면 강의, 회의, 연설, 상담, 민원창구용 동시통번역을 제공한다. 신경망 기계번역(NMT) 및 음성인식(STT) 기술을 적용해 신속하고 빠른 동시 통번역 서비스가 가능하다.
특히 영상 내 음성 인식, 한국어 자막 생성, 자동번역한 다국어 자막 생성, 자막 오류 수정, 자막 다운로드 등 음성 전사와 원문 정제에 편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
이 솔루션은 영어, 일본어, 중국어 등 11개 다국어를 지원하며 다량의 음성데이터를 학습해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한국어의 음성 정확도가 매우 높다. 데이터셋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성능향상이 이뤄진다. 민원대 및 창구 설치형 닫기투명 디스플레이 (Transparent Display): 유리처럼 투명한 디스플레이상세보기▶투명 디스플레이, 태블릿 및 노트북 형태 단말기 제공, 전용 마이크 포함 고객사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.
무엇보다 통역사 없이 직접 의사소통할 수 있어 외국인이 많이 찾는 관광지나 각종 상담센터, 창구 운영시 응대가 쉬워진다. 외국인의 강연이나 각종 외국인 대상 행사에서도 별도의 통역사 없이 진행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.
특히 발화와 동시에 실시간 번역이 이뤄져 강연 및 강의, 지역 축제 등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이 특징이다. 화자가 한번만 발화하여도 문장 전체가 동시에 즉각적으로 텍스트로 표출된다.
이 밖에 실시간 콜센터 전화/채팅상담 통번역 서버스, 주문형 비디오(VOD) 자막생성 서비스 및 솔루션, 실시간 인터넷방송 및 화상회의 통번역 서비스, 자연어처리 AI 모델(자동번역, 음성인식, 음성합성, 요약, 문법교정)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(API) 서비스 등의 기술력도 소개했다.
<관련기사>
전자신문
실시간 현장 발화 동시통역 솔루션 노트북형 단말기 기반 웹 서비스 UI/UX.
디엠티랩스는 11월 28~29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(AI) 전시회인 'AI 테크 플러스(TECH+) 2024'에서 한국인공지능협회 공동관에 참가해 자연어처리 AI 서비스 및 솔루션을 소개했다.
디엠티랩스의 실시간 현장 발화 동시통역 솔루션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 대면 강의, 회의, 연설, 상담, 민원창구용 동시통번역을 제공한다. 신경망 기계번역(NMT) 및 음성인식(STT) 기술을 적용해 신속하고 빠른 동시 통번역 서비스가 가능하다.
특히 영상 내 음성 인식, 한국어 자막 생성, 자동번역한 다국어 자막 생성, 자막 오류 수정, 자막 다운로드 등 음성 전사와 원문 정제에 편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
이 솔루션은 영어, 일본어, 중국어 등 11개 다국어를 지원하며 다량의 음성데이터를 학습해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한국어의 음성 정확도가 매우 높다. 데이터셋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성능향상이 이뤄진다. 민원대 및 창구 설치형 닫기투명 디스플레이 (Transparent Display): 유리처럼 투명한 디스플레이상세보기▶투명 디스플레이, 태블릿 및 노트북 형태 단말기 제공, 전용 마이크 포함 고객사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.
무엇보다 통역사 없이 직접 의사소통할 수 있어 외국인이 많이 찾는 관광지나 각종 상담센터, 창구 운영시 응대가 쉬워진다. 외국인의 강연이나 각종 외국인 대상 행사에서도 별도의 통역사 없이 진행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.
특히 발화와 동시에 실시간 번역이 이뤄져 강연 및 강의, 지역 축제 등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점이 특징이다. 화자가 한번만 발화하여도 문장 전체가 동시에 즉각적으로 텍스트로 표출된다.
이 밖에 실시간 콜센터 전화/채팅상담 통번역 서버스, 주문형 비디오(VOD) 자막생성 서비스 및 솔루션, 실시간 인터넷방송 및 화상회의 통번역 서비스, 자연어처리 AI 모델(자동번역, 음성인식, 음성합성, 요약, 문법교정)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(API) 서비스 등의 기술력도 소개했다.
<관련기사>
전자신문